혹시 관상 좀 봐 달라시는 분이 있을까봐 이규보 선생의 이야기를 올립니다.
================================================================
어떤 관상쟁이가 있었는데, 어디서 왔는지도 모르며 상서도 읽지 않고,
재래의 관상법도 본받지 않았으며,
이상하게 관상을 보므로 사람들이 '이상한 관상쟁이'라 불렀다.
모든 사람들이 다투어 찾아가 관상을 보았다.
부귀하고 뚱뚱한 사람 : 당신은 얼굴이 여위었으니 천한 사람이 되겠소.
빈천하고 여윈 사람 : 당신의 얼굴은 살쪘으니, 귀한 사람이 되겠소.
장님 : 눈이 밝군!
잘 뛰는 사람 : 다리를 절어 걸음을 못 걷겠군.
얼굴이 예쁜 부인 : 혹 아름답고 혹 추하오.
너그럽고 어진 사람 : 만 사람을 상하게 하겠소.
못되어먹고 나쁜 사람 :만 사람을 기쁘게 하겠소.
고스톱 포커 잘 치는 사람 : 패하여 지는 고통으로 맘을 다치겠소.
맨날 돈 잃는 사람 : 명예와 기쁨이 넘치겠소.
그의 관상법이 현재 얼굴이나 행동의 반대여서
뭇사람들이 사기꾼이라 하여 관가에 고발하여,
국청에 잡아다가 다스리려 하므로 내가 만나 보았다.
나는 목욕 세수 양치질하고 옷깃을 정돈하여 고름을 매고, 그를 찾아갔다.
그리고 그에게 왜 거꾸로 관상을 보아 주었느냐고 물었다.
그의 대답이 이러했다.
대개 부귀하면 교만하고 건방지며,
남을 능멸하고 업신여기는 마음이 자라나니 죄가 가득함이라,
하늘이 반드시 뒤집을 것이오.
그래서 앞으로는 겨죽도 못 먹게 될 때가 있겠기로 여위었다 말하였고,
장차 몰락하여 보잘것없는 필부의 천한 몸이 되겠기로 천하겠다 하였고,
돈 잘 따는 이는 언젠가 더 고수(타짜)를 만나 패하게 되면,
늘 지던 사람보다 더욱 맘을 상하게 되겠기로 그렇게 말하였소.
반대로 빈천하면,
뜻을 겸손히 하고 자기를 낮추어 겸손하고
늘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닦고 살필 뜻이 있으니,
부괘(否卦)가 극하면 태괘(泰卦)가 반드시 오는 법이라,
고로 살찌겠다 하였으며,
장차 만석십륜(萬石十輪;큰 부자)의 귀함이 있겠기로 귀하겠다 하였소.
그리고 치면 잃는 사람도 열심히 연습하여
평소에 늘 지던 고수에게 드디어 이기게 되었을 때,
주위의 시선이 집중되고 스스로 자랑스러움이 크게 떨쳐 일어날 것이니,
명예와 기쁨이 넘치겠다 하였소.
그리고 요망한 자태와 아름다운 색을 보고 진귀한 것을 탐내며,
사람을 혹하게 하는 것이 곧 사람의 눈인데,
이 눈 때문에 불측한 욕에 이르게 됨이 사실이오.
그런데 눈이 먼 자는 담박하여 욕심이 없고,
욕심을 멀리하여 어진 이와 깨달은 이보다 나으므로 밝다 하였소.
또 대개 민첩하면 날램을 숭상하고,
날래면 뭇사람을 능멸하는데,
그리하여 마침내 그는 자객이 되고 혹은 간당(奸黨)의 수령이 되어,
끝내는 법관에게 묶이고 옥졸이 지켜,
발에는 차꼬, 목에는 나무칼이니,
도망하련들 어찌 달아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다리를 절어 못 걷겠다 한 것이오.
대개 색이란 것은 음란하고 사치하며,
이상한 것을 좋아하는 자가 보면 구슬이나 옥처럼 예쁜 것이로되,
곧고 모나며 순박하고 검소한 자가 보면 진흙이나 썩돌처럼 추한 것이오.
그러므로 혹 아름답고 혹 추하다 한 것입니다.
그리고 어진 사람은 죽을 때에 사람들이 미련이 많아 울며불며 슬퍼함이
마치 어린애가 어머니의 자애를 잃음과 같아,
만 사람을 상하는 이라 하였고,
반대로 나쁜 사람은 죽으매 마을에서 다행으로 여겨,
양을 잡고 술을 마시며 서로 치하하고 웃기 때문에
입을 가누지 못하는 자와 춤추어 손목이 아플 지경이 되는 자가 나오겠기로
만 사람을 기쁘게 할 이라 하였소.
이 관상쟁이의 말은 표어를 삼을 만하지 않습니까?
얼굴이 아름다우면 거북무늬에 물소뿔이라 하고,
얼굴이 흉하면 벌의 눈에 늑대 목소리라 하는 식으로
스스로 거룩한 체, 스스로 영리한 체하는 사람들에게 비할 것입니까?
=============================================================
오래 전, 에버랜드 불교 미술대전에 가 본 적이 있습니다.
동양 3국의 모든 불교 문화재가 진열되어 있었는데,
가장 중앙에 빨간 우단을 깔고 유리 상자 안에 걸려 있는
가장 귀한 물건이 무엇이었던지 아십니까?
저가 입고 있는 24만 원짜리 양복보다 절대로 값어치가 더 나가지 않을
옷이 한 벌 걸려 있었습니다.
얼마나 깁고 기웠는지 성한 데가 한 곳도 없었습니다.
누더기라도 그런 누더기는 세상에 일찍이 없었을 것입니다.
그 누더기는 성철 스님이 평생 입으셨던 승복이었습니다.
저가 죽으면 저의 아들이 제 옷들을 어떻게 할까요?
아마 불에 확 태워 없앨 것입니다.
옷 자체의 가격이 문제가 아니더라구요.
누가 입었던가가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이완용이 정말 명필이었다고 합니다.
인사동 가면 족자 하나에 일만 원 한답니다.
표구값도 안 되는 가격이죠.
그래도 안 팔린다고 합니다.
바른 소리 한다고 제주도 귀양 갔던 추사의 난 한 폭은
수억 원이 넘어 간다죠.
바람재 오시걸랑 고담준론(高談峻論)으로
들꽃에 생기를 더 불어넣고 돌아들 가시기를 빌며,
이만 건방진 소리를 줄입니다. 합장!!
'흥미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다지님께서 달구 사진 좀 올리라 해서요. (0) | 2010.09.20 |
---|---|
[스크랩] 전국 5일장 (0) | 2010.09.11 |
[스크랩] Re:꽃님들께서 답좀 가르쳐 주세요. (0) | 2009.09.09 |
[스크랩] 정말 꽁이 아님 (0) | 2009.09.09 |
[스크랩] 테니스 엘보 나으려고 벌침을 맞았어요. (0) | 2009.09.09 |